Blessing & Resting Magazine
  • HOME
  • ABOUT B&r
  • PEOPLE
  • NATURE
  • CULTURE
  • PHOTO ESSAY
  • NOTICES
  • ESSAY

늑대 14마리의 기적

NATURE

미국의 옐로스톤 국립공원은 떼지어 다니며 풀을 뜯어 먹는 사슴들 때문에 공원이 황폐화되기 시작했다. 사슴을 위협하는 포식자가 없기에 그 수가 급격히 늘어났고, 늘어난 사슴은 공원 내의 폴이란 풀은 다 먹어치워 공원은 허허벌판처럼 보이도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원은 여러 방법을 동원해보았지만 허사였다.

image

 

결국 옐로스톤 공원에서는 사라진 늑대 14마리를 70년 만에 공원에 풀어놓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그때만 해도 이 14마리의 늑대가 어떤 결과를 나을지 알 수 없었다.

wolves-4377376_1280

 

늑대가 사라지기 전에 공원에는 코요테가 있었지만 크기가 작은 동물만 사냥할 수 있을 뿐 사슴처럼 큰 동물을 사냥하기는 어려웠기에 한계가 있었다.

 

5816971122_e6d5df301b_b

늑대가 사슴을 사냥하자 사슴의 수가 줄어들었고, 그 결과 공원에는 다시 풀이 자라기 시작했다. 특히 버드나무와 사시나무는 5배나 더 커졌다.

Yw-190

사슴들은 특히 늑대에게 잡히기 쉬운 계곡을 피해서 달아났는데, 그러자 옐로스톤 공원에서 사라졌던 비버가 계곡으로 돌아와 집을 짓고 서식하기 시작했다. 버비가 서식하자 수달이나 오리들의 새로운 서식지가 생겨났고, 물고기가 강으로 돌아왔다.

beaver-dam

최상위 포식자인 늑대가 코요테를 사냥하기 시작하자 코요테가 늑대를 피해 달아나기 시작했으며, 이는 토끼나 쥐 같은 작은 동물들의 수를 늘려주었다. 그러자 이 동물을 먹이로 삼는 독수리나 오소리가 공원으로 다시 돌아왔다.

 

이런 동물의 변화를 넘어 늑대 무리는 공원의 강의 흐름을 바꾸었다. 강의 굽이가 완만해지고 급류가 늘어나고 웅덩이가 늘어나면서 동식물이 살기에 적합한 곳이 되었다.

Wolf-for-web

우리는 때로 우리 삶에 나타난 이런 저런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노력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을 때가 있다. 의지는 약하고, 실천은 부족하다. 편안함만을 바라는 우리의 나약함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신이 우리 삶에 고난을 허락하신 것은 그것이 겉으로 보기에는 고난처럼 보이지만 우리 삶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고, 삶의 거품들을 거둬내기 위함이 아닐까. 그러니 이제부터 우리 삶에 다가온 문제들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자. 잘 이겨낸다면, 결국은 그것이 우리를 더 강하고 단단하게 해줄 옐로스톤 공원의 늑대 14마리인지도 모른다.

 

글. 김미현 기자

Previous Article 하늘의 꿈을 위해 달리는 학교, 하늘꿈학교 임향자 교장
Next Article 다름을 존중하는 삶, 초보 플랜터의 하루

About Author

admin

Related Posts

  • 인생의 겨울을 대비하는 자세

  • 인간의 이타심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About

(주)유나이티드디자이너스

대표자 : 정충효
개인정보책임관리자 : 정충효
사업자번호 : 211-87-80075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168 (신당동) 성원빌딩 가동 7층
전화 : 02-3462-7255
이메일 : admin@build.co.kr

Blessing & Resting Magazine
Copyright©2015 유나이티드디자이너스 All rights reserved | Hosting by CodeM